한국PD연합회

PD상

프로그램을 통해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 나가는 PD들의 징검다리가 되겠습니다.

  • home
  • PD상
  • 이달의 PD상

이달의 PD상

205
before
after

KBS부산 유네스코 기록유산 등재신청 특집 <조선통신사> 2부작 

연출 최용수

촬영 김요섭 김상준

작가 추미전

◆ 수상소감

KBS부산 최용수PD

 

'조선통신사'라는 다소 진부(!)한 소재를 다룬 다큐멘터리임에도 불구하고 이달의 피디상으로 뽑아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개인적으로는 피디생활 20년의 이정표를 찍는 작품이어서 더 감회가 새롭습니다.

 

'조선통신사'라는 용어는 엄밀하게 국내 역사학계에서 통용되는 공식적인 명칭은 아닙니다.

'통신사''국왕사'가 각각 조선과 일본의 공식 국가사절단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그런데, '조선통신사'라는 용어로 정리된 관련기록물들이 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으로 등재신청 되었을까요? 사실 이번 작품을 만들면서 가장 아쉬웠던 부분이 바로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을 담지 못했다는 점입니다. 취재는 꽤 이뤄졌지만...

 

조선통신사관련 기록물들이 세상에 알려지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분은 재일교포 사업가이자 사학자였던 고 신기수 선생이란 분입니다. 태평양 전쟁 패망 후에도 일본에 남아있던 조선인들은 이후 일본인들의 온갖 차별대우 속에서 고통받았는데, 로 고통 받았던 재일교포들을 보며 에도시대 조선과 일본이 평화와 신뢰로 교류하던 사료들을 발굴 소개하면서 재일교포들에게 큰 힘이 되어주신 분입니다. 일제는 조선과 일본의 대등한 평화적 관계를 유지했던 조선통신사 관련 기록과 사실들을 왜곡·축소하려고 했었습니다만, 다행히 그 방대한 기록물들이 담고 있는 평화와 성신교린의 가치는 조선통신사들이 지나간 여정 곳곳에 남아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자료들을 발굴하고 소개한 재일교포 사학자들과 그에 공명한 양심적인 일본인들의 노력이 드디어 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 등재신청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최근 한일관계가 극도로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조선통신사는 중요한 메시지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무엇보다도 북핵 문제로 팽팽한 긴장감이 연출되고 있는 동북아시아에서 성신교린(誠信交隣)’이야말로 국가 간 외교에서 최우선 가치가 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요.

 

지난 6개월 동안 작가와 촬영감독님들, 헬리캠팀, 시립극단 배우들, FD 등 너무 많은 분들이 모두 자신들의 일처럼 도와준 기억들이 정말 소중하게 가슴에 남아 있습니다. 일본 현지에서도 조선통신사의 가치와 의미를 세상에 알리기 위해 시간과 노력을 아끼지 않으셨던 많은 분들에게도 이 상은 소중한 의미가 될 듯합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조선통신사 관련 기록물 333점이 반드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돼 세계사적으로 유래없는 이웃하는 두 국가간의 260년 평화의 의미가 세상사람들에게도 큰 울림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 심사평

SBS 시사교양본부 선임프로듀서 송 영 재

205회 이달의 PD상 심사에 오른 이번 작품들은 정말 우열을 가리기 어렵게 모두 우수프로그램들이었다. 지역방송사 작품 4편 포함 총 10편의 작품들은 어느 작품을 수상작으로 결정하더라도 손색이 없을 정도였다. 그 중에서도 마지막까지 심사위원들의 열띤 토론을 불러일으킨 작품은 KBS<추적60돈의 전쟁, 법조계 전관예우>, SBS<궁금한 이야기 Y 끝나지 않은 인혁당 재건위 사건, 국가는 왜 피해자를 두 번 울리나?> 그리고 KBS부산의 <<유네스코 기록유산 등재신청 특집; 조선통신사 2부작>이었다. <추적60>이나 <궁금한 이야기 Y>는 오늘의 사회상에서 꼭 짚어 개선해야 할 이야기였기에, 방송의 공공성이 추락한 현실 속에서 수상작으로서 충분한 자격이 됐다

그럼에도 이번 수상작을 KBS부산의 <조선통신사 2부작>으로 선정한 이유는 임진왜란 이후 불구대천의 원수관계를 극복하고 260년 동안 평화선린 관계를 유지했던, 지난 4백년 전의 역사를 재조명함으로써 오늘날 한반도 주변의 긴장 속에서 되풀이 되는 갈등의 한일관계 현대사를 적극적으로 풀어갈 수 있는 큰 안목의 지혜를 구하는 사고전환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겠다는 점에 높은 점수를 주었다. 특히나 4백년 전의 시대, 문화적 상황을 이해하도록 한지공예 인형과 컴퓨터그래픽을 활용하여 상황재현과 실사를 결합한 영상구성은 과거 동일 소재 작품에 비해 뛰어난 영상으로 또 다른 재미를 주고 있다

한편 CJB<7년 유성기업의 눈물> 역시 지역방송사에서 다루기 쉽지 않은 소재인 노사갈등, 노조탄압의 폐해를 장기간 추적, 조명한 수작이었음에도 이번 시상에는 아쉽게 탈락하였기에 밝혀 둔다.

 

  • 이전글206 17.06.16
  • 다음글204 17.04.10